목록Toy Project/비사이드 (6)
개발자의 오르막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zrvP/btrKJ3YRnU2/a2MMcArjIPSf1WiilVy8Yk/img.png)
네이버 클라우드는 서버 작업이 가능한 22 포트를 제외하고는 Public IP 를 유료로 지원한다. 내가 서버를 띄워도 접속해보려면 80포트, 443포트, 8080 포트 등 기본적인 포트가 필요한데, 이 부분들을 유료로 사용해야 한다.. ㅜㅜ Public IP 신청 Naver Cloud 의 Console → Server → Public IP 메뉴로 진입한다. Public IP 와 연결시킬 해당 인스턴스를 선택한다. 월 이용료 4,032 원을 안내해준다. 이건 Credit 으로 무조건적으로 나가는 비용이다. 포트 포워딩 Public IP 를 생성했으면 이제 서버에 포트 포워딩을 진행한다. 포트 포워딩은 SERVER → 상단 측에 포트포워딩 버튼으로 팝업을 띄워서 아래와 같이 진행한다. 이후 ACL 설정으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3dsS6/btrIywpIup2/jkhYVwICKqLY1orhbPh45K/img.jpg)
비사이드에서는 네이버클라우드와 NHN 클라우드 중 선택해서 크레딧을 제공하고 있다. 나는 기존 AWS 와 GCP 를 사용해보았는데, 이참에 크레딧을 제공해주는 타 클라우드 플랫폼을 경험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했다. 서버 생성 → ACG 설정 → 공인 IP 할당 → 웹 서버 설치 서버생성 : 서버의 스팩과 OS를 결정 ACG 설정 : 해당 서버의 방화벽을 구성 공인 IP 할당 : 외부에서 해당 서버로 접근하도록 공인 IP를 할당 웹 서버 설치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계정 및 크레딧을 신청한다.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무료 서버 스택 OS : CentOS 6.6(64bit) 서버스팩 : [Micro] 1vCPU, 1GB Mem, 50GB Disk 스토리지 : [HDD] 기본 50GB 포트 포워딩(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fWQc/btrEwjthKgW/qJsqkVEKK8BfPa3qNAdKz1/img.png)
1장_3절. 생성자에 코드를 넣지 마세요 주 생성자는 객체 초기화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유일한 장소이기 때문에 제공되는 인자들은 완전해야 합니다. 객체 초기화에는 코드가 없어야 한다. 주 생성자에는 코드가 없어야 하고, 오직 할당문만 포함해야 한다. 진정한 객체지향에서 인스턴스화란 더 작은 객체들을 조합해서 더 큰 객체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위드펫에서 위에 해당하는 부분이 있을까? 상황 현재 프로젝트에서는 공공데이터를 파싱하여 AdoptAnimalData 테이블로 저장 후 AdoptAnimal 테이블로 가공하여 저장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공공데이터에서는 모든 필드값을 string 으로 내려주는데, 그렇기 때문에 Enum , LocalDate 타입 형태로 가공이 필요한 데이터들이 존재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KePH/btrCHCioBxf/HZNT846Hy1L973nvXpeVfk/img.png)
위드펫을 다른 개발자들과 협업하여 공동 개발하기 위해서 깃허브를 이용하기로 결정했다. 비사이드에서 제공하는 Organization 이 있지만, 우리 팀원이 최고 권한을 가지기 어려울 것 같아 우리끼리 Organization 을 생성하기로 결정했다. 따라서 Google 에서 공동 계정을 생성하였고, 그 계정과 동일하게 깃허브 계정을 생성한 후 공유했다. Organization 생성 방법 먼저 본인의 깃허브 계정으로 로그인 한 후 우측 상단의 + 을 클릭한다. 2. Organization 계정을 생성하기 위해 연동할 이메일과 계정을 입력하여 생성한다. 깃허브 프로젝트 및 이슈 생성, 연동 우리는 비사이드를 통해 모인 팀원들이다. 물론 우리가 기획한 서비스를 비사이드 기간 (4개월) 내 만드는 것도 좋지만 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rAiuj/btrCakaiAzt/fTXAqXMc6WINdYYCOYI961/img.png)
아이디어 의견 취합 모든 프로젝트에서 아이디어 선정 만큼 중요한 회의가 없을 것이다. 특히 우리는 비사이드에서 만난 자발적 모임이기 때문에 구성원 모두가 아이디어에 흥미를 지녀야 적극성에 대한 여부가 달라질 수 있었다. ( 우리는 돈을 받는 것이 아닌, 돈을 내고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는 것이니까.. ) 1주차에서 우리 팀만의 그라운드 Role 을 정하고 2주차부터 아이디어 선정 회의를 진행하도록 했다. 추상적으로만 생각하는 것이 아닌, 아이템, 제안 배경, 참고 서비스, 작성자, 투표, 투표한 이유에 대한 칼럼으로 표 형태로 제시하여 의견을 취합했다. 위의 표처럼 아이디어를 취합하고, 2주차 회의 때 끝장 토론을 시작했다. 아이디어 선정 회의 아이디어는 다수결 원칙에 따라 2개의 안이 올라왔다. 위드펫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Nrvv8/btrz61dPuqJ/s4YADEfwusNj4gLBf2PAp0/img.png)
비사이드에 참여하게 된 동기 이제 개발자 3년차에 들어오면서 자신만의 서비스를 런칭해보고 싶다는 욕구가 생기기 시작했다. 웹 개발 3년차인 나로서는 Back, Front의 영역을 모두 하려했는데, 프로젝트를 급급하게 되게끔만 만드는 나 자신을 보면서 현타가 오기 시작했었다. 다행히 Back-end 동료 개발자랑 스터디 모집 사이트 https://groovee.io/groups 를 런칭하긴 했지만 Front 부분이나 기획, 디자인 부분이 아쉬운 점이 많았다. 이번 이직을 통해 웹개발에서 서버개발로 직무를 바꿈에 따라 내가 가진 웹개발 ( Java, SpringFrame ) 기술을 놓지 않기 위해서 사이드로 서비스를 만들어보고 싶은 동기도 있었다. 이런 이유로 지원하게 된 비사이드는 기획 2명, 디자인 2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