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81)
개발자의 오르막
Keyword TDD , golang Overview 사업에 레드플레이어 라는 단어가 있다. 레드플레이어란, 특정 아이디어에 대해 반대편에 서서, 아이디어에 비관적으로 생각하고, 단점에 대해 공격적으로 어필하는 플레이어를 말한다. 팀원 모두가 긍정적인 견해로 일원화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TDD (Test Driven Development) 가 주는 순 기능으로 위와 같은 레드플레이어의 기능이 부각된다. 우리는 여러 테스트 코드를 짤 때, 해당 기능이 Fail 나는 상황을 여러 단계로 쪼개서 생각하고 작성한다. 여러 경우의 수가 반영된 테스트코드를 통과하면서 보다 완전한 하나의 기능이 탄생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기능을 여러 단위로 쪼개어 테스트를 진행 (단위테스트) 하기 때문에 우리는 손쉽게 어떤 ..
Keyword Git , Github , Study , Git Flow , Pull Request , Issue , Milestone Overview Git 은 여러 개발자들이 협업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형상관리도구입니다. 우리는 개발을 처음 배우면서 깃허브에 레파지토리를 파고, 1인 개발자의 코드만 형상관리를 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작은 프로젝트부터, 특히 현업에서는 혼자가 아닌 팀 단위로 개발을 진행하기 때문에 Git 으로 어떻게 협업하는 지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볼 것이다. Git Flow Git Flow 라 함은 쉽게 말해 Git Branch 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전략을 의미합니다. 현업에서는 개발을 진행할 때, Develop → Stage → Product 으로 배포가 진행됩니다. ..
Keyword zookeeper , 분산시스템 Overview 모든 서비스의 기능에는 부하가 골고루 분배되지 않고, 특정 기능에 집중되기 마련이다. 대용량의 부하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기능을 작업 단위로 분배하여 서버로 나눈다. 그 중 집중되는 기능은 여러 컴퓨터가 일을 같이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를 분산 시스템이라 한다. 하나의 일을 여러 컴퓨터가 나눠서 작업을 하여, 마치 하나의 컴퓨터가 작업한 것처럼 이루어지려면 해당 일에 대한 분배와 상태 공유가 원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알기 위해 먼저 분산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자. 분산 시스템 💡 분산 시스템이란, 네트워크로 연결된 여러 대의 컴퓨터에 하나의 프로그램이 분산되어 실행되면서, 마치 하나의 프로그램처럼 움직이는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
Target Docker 명령어로 Redis 를 설치 및 구동해본다. Docker-Compose 로 Redis 환경을 구축해본다. Docker 컨테이너에 접속해 Redis-Client 를 실행시켜본다. Docker-Compose 로 Redis-Sentinel 환경을 구축해본다. ( 2편예정 ) 1. Docker 로 Redis 설치 및 구동하기 도커로 특정 프로그램을 설치한다고 할 때 다음과 같은 절차를 공통적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원격 레파지토리에 있는 Docker Image 를 다운받기 Docker 실행 명령어에 적용할 옵션을 붙여서 실행하기 일종의 패키지, 또는 라이브러리라 볼 수 있으며, 저희는 이미 구성된 쉘 스크립트 파일을 Docker run 명령어를 통해 자동으로 실행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는..
Keyword was, webserver Overview 우리는 개발을 하면서 Was 와 WebServer 라는 단어 자체는 많이 들어봤을 것입니다. 하지만 Was 와 웹서버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알지는 못하는 경우가 다반수입니다. 게다가 SpringBoot 에서는 Apache Tomcat 을 내장서버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에서 Tomcat 과의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해줘 실제 우리가 Tomcat 을 띄어보거나, 설정을 조작하는 일에서 많이 벗어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Was 와 웹서버를 모르는 건 단순히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때에만 가능하지, 실제 우리의 서버가 Dev, Stage, Product 으로 나가게 될 때에는 예기치 못한 오류를 해결하지 못하게 됩니다. Web Server 와 Was..
네이버 클라우드는 서버 작업이 가능한 22 포트를 제외하고는 Public IP 를 유료로 지원한다. 내가 서버를 띄워도 접속해보려면 80포트, 443포트, 8080 포트 등 기본적인 포트가 필요한데, 이 부분들을 유료로 사용해야 한다.. ㅜㅜ Public IP 신청 Naver Cloud 의 Console → Server → Public IP 메뉴로 진입한다. Public IP 와 연결시킬 해당 인스턴스를 선택한다. 월 이용료 4,032 원을 안내해준다. 이건 Credit 으로 무조건적으로 나가는 비용이다. 포트 포워딩 Public IP 를 생성했으면 이제 서버에 포트 포워딩을 진행한다. 포트 포워딩은 SERVER → 상단 측에 포트포워딩 버튼으로 팝업을 띄워서 아래와 같이 진행한다. 이후 ACL 설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