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의 오르막
[AWS 활용교육 #00] 클라우드 컴퓨팅 개요 본문
# 클라우드
- 개요
원격으로 접속 가능하여야 함.
사용량 측정 가능
컴퓨팅 자원이 pool 로 구성되어 있음 ( 확장성 )
- 장점
자본 비용을 가변 비용으로 전환 가능하다.
규모의 경제
전략적으로 투자 가능
고객에게 집중
사업을 차별화하는 프로젝트에 집중 가능
- 데이터 센터
- 서버
- 가상화
- 하드웨어의 경우 특정 Task 를 수행하는 것에 있어 자원의 한계량이 있음
물리적 한계가 존재하고 있어, 최대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 예비 공간을 계속해서 대비해야함.
그러나 최대 트래픽은 특정 시간 대에만 필요해서 잔여 공간이 남게되고, 비용으로 축적됨.
- 클라우드컴퓨팅은 가상화 기술을 사영하여 이러한 잔여공간을 최소화 시키는 기술임.
클라우드 컴퓨팅은 특정 소프트웨어가 각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어, 컴퓨터의 하드웨어 정보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
이 소프트웨어는 운영체제와 통신하여, 여러대의 하드웨어의 공간을 컨트롤 할 수 있음
이를 Resource Pooling 이라 하며, 이 소프트웨어를 하이퍼바이저라고 한다.
- 물리서버 위에 하이퍼바이저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서 CPU, 메모리, 스토리지 등 컴퓨팅 자원을
할당을 해서 배분하는 기술을 가상화 기술이라고 한다.
- 위의 각각의 가상머신이 AWS의 EC2 이다.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범위는 가상머신의 운영체제까지만 사용할 수 있다.
# AWS에서 가상 머신 배포
- 사용자는 자신이 만들고자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운영체제 및 필요 구성에 따라 AMI를 구성하고,
EC2 를 생성할 수 있다.
- 이 구성형태를 가상머신 이미지 파일로 구성하여 AWS에 배포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미지들 중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자신의 운영체제를 구성할 수 있다.
- 이를 통해 하나의 이미지로 여러 EC2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정책에 따라 자동화 할 수 있다.
이 자동화가 클라우드 컴퓨팅의 확장성을 가능하게 해주는 부분이다.
- 이 자동화를 AWS에서 Auto Scaling 이라 한다.
run.qwiklabs.com
- 검색창에 ec2Introduction to Amazon EC2 를 입력한다.
서비스 배포
홍순태 강사님 : suntae.hong@thecloudist.co.kr
'교육과정 ( SW 개발자 심화과정 )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활용교육 #13] S3 Service (0) | 2019.10.26 |
---|---|
[AWS 활용교육 #12] Elastic Beanstalk (0) | 2019.10.26 |
[AWS 활용교육 #10] 로드인벤서 실습 (0) | 2019.10.25 |
[AWS 활용교육 #09] 탄력성을 가진 인프라 (0) | 2019.10.25 |
[AWS 활용교육 #08] AWS 데이터베이스 실습 (0) | 2019.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