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의 오르막
[AWS 활용교육 #02 ] AWS VPN 본문
# Amazon VPC
- AWS 클라우드에서 격리된 프라이빗 가상 네트워크를 프로비저닝한다.
- 가상 네트워킹 환경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다.
- 논리적으로 완벽하게 분리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만들어준다. (가상의)
- IP 주소 범위 선택, 서브넷 생성, 라우팅 테이블 구성,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구성
- 서브넷은 VPC 내 IP 주소 범위를 정의
- 선택한 서브넷에서 AWS 리소스를 시작
- 프라이빗 서브넷은 인터넷으로 액세스할 수 없는 리소스에 사용
- 퍼블릭 서브넷은 인터넷으로 엑세스 할 수 있는 리소스에 사용
- 각 서브넷은 하나의 가용 영역 내에 모두 상주해야 하며, 다른 영역으로 확장할 수 없음
- 게이트웨이 :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기능을 함
- 라우팅 테이블 : 각각 서브넷으로 갈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
- 퍼블릭 서브넷 : 게이트웨이와 서브넷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함.
- 가상 프라이빗 게이트웨이 : 서브넷으로 갈 수 있는 정보를 인터넷 게이트웨이에 안알려줌.
- VPC NAT 게이트웨이 : IP주소 변환 서비스, 인터넷 통신이 안되는 IP 주소를 인터넷과 연결할 수
있게 IP 주소 변환을 함.
인터넷 통신은 되지만 외부에서 먼저 들어오지 못하게 기능을 함.
- VPN 전용 서브넷 : 사설망을 통해 VPN 전용으로 서브넷을 만듬
- AWS 로드밸런서 : 외부에서 오는 트래픽을 프라이빗으로 보내줘 외부에서 프라이빗 접속이 가능하게 해줌.
- 특정 네트워크로 접속하는 접근을 필터링하는 기능 NACL (Network 접근컨트롤)
- 포트를 열어주는 것 ( 시큐러티 그룹 )
- 운영체제의 방화벽에서도 해당 트래픽을 열어줘야함.
Window - NACL, Security
- VPN 연결
-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는 공간이 생김
- 서브넷을 만드는데 가용영역을 고려해서 만들어진다.
- 어떤 종류의 트래픽을 허용하도록 만들 것이냐, Public, Private
- public, private 은 라우팅 테이블을 사용하는냐, 안하는냐에 따라 달라짐
'교육과정 ( SW 개발자 심화과정 )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활용교육 #05] EBS (0) | 2019.10.25 |
---|---|
[AWS 활용교육 #04] S3 (0) | 2019.10.25 |
[AWS 활용교육 #03] EC2 & VPC 생성 실습 (0) | 2019.10.25 |
[AWS 활용교육 #01 ] AWS EC2 (0) | 2019.10.25 |
[AWS 활용교육 #00 ] AWS 개요 (0) | 2019.10.25 |